• 로그인
  • 입회안내
평화문제연구소
  • IPA소개
    설립목적/연혁 인사말 조직도 해외지부 홍보관 오시는길
  • 학술활동
    국내회의 국제회의 재외동포 통일독일현장연구 북한자연인문지리DB 학술지
  • 통일교육
    세미나 · 강좌 공모전 · 전시회 현장연수 북한관 통일한국포럼
  • 교류협력
    국내교류 남북교류 국제교류
  • 자료실
    IPA간행물 법령자료 통계자료
  • 참여마당
    공지사항 회원활동 장학금 지원 입회안내 묻고답하기 쌤과 함께 통일봄

자연지리정보관


금강산 삼일포

인문지리정보관


남포시 서해갑문

행정구역정보관


함경남도 함흥시내

민속문화관

만경대학생소년궁전

유물유적관

개성 선죽교

유물유적관


개성 숭양서원
Previous Next
학술활동
  • 국내회의
  • 국제회의
  • 재외동포
  • 통일독일현장연구
  • 북한자연인문지리DB
  • 학술지
  1. 홈
  2. 학술활동
  3. 북한자연인문지리DB
  4. DB구축 개요
북한자연인문지리DB
  • DB구축 개요
  • 주요내용
  • 보고회 · 워크숍
북한의 자연·인문 지리정보와 사진, 지도, 동영상 등을 분야별, 시대별, 형태별로 DB화, 북한지역의 미시적 부분까지 접근성을 향상시켜 지역별 개발과 보존, 남북교류협력, 대북투자 토대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구축 의의
내용의 방대함과 충실도로 각계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조선향토대백과>는 아날로그 형식의 인쇄물인 만큼 부득이 여러 자료들이 누락되었고, 한정된 배포로 인해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정보에 접근하는 데는 계속 애로가 있었다. 그러나 DB로 구축되면서 인터넷상으로 고품질의 북한지역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특히 자연·인문 지리의 지역별, 시대별, 종류별, 형태별, 등급별 등 다양한 방식의 검색과 이용이 가능해 짐으로써 통계적 연구기반까지 마련되어 연구자, 전문가, 학자는 물론, 언론인, 기업인, 학생, 일반인들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학술적 수요 충족
  • - 북한지역 자연생태, 지방산업, 지방문화, 지명변천 등 자연·인문지리 연구자료
  • - 북한지역 민족문화유산 및 향토민속자료의 기록보존 및 연구자료
  • - 자연·인문 지리의 지역별, 종류별, 형태별 검색으로 통계적 연구기반 마련
남북 경제협력 및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
  • - 국가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 SOC 역할
    - 지하자원 공동개발 등 남북경제 협력 기반
    - 북한관광자원 개발 및 남북관광교류 활성화를 위한 기반
공공적 정보 수요 부응
  • - 북한 지역정보의 접근기반 마련
    - 남북관계 발전에 기초가 되는 인프라 스트럭처로
  • 기능
    - 사회적 정보수요 충족 및 계층 간 정보격차 해소
통일대비, 사회통합 기여
  • - 접속확대로 남남갈등 해소와 사회통합에 기여
    - 북한과 정보공유 및 갱신작업으로 민족동질성
    회복에 기여
    - 남남갈등 해소와 민족동질성 회복으로 통일대비 역량 강화
추진 연혁
2005. 10. 남북협력사업 <조선향토대백과> 편찬 완료
2006. 3. 정보통신부, <조선향토대백과>의 DB구축을 국가지식정보자원사업으로 지정
2006. 6. 20 2006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착수보고회 및 북한 지역정보 DB-GIS 구축 및 인터넷 활용방안 세미나 (국회)
2006. 12. 14 2006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완료보고회 및 인터넷을 활용한 북한 지역정보의 접근성 제고방안 세미나 (국회)
2007. 7. 16 2007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중간보고회 (세종호텔)
2007. 11. 19 2007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완료보고회 및 북한 지역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인터넷 활용방안 세미나 (세종호텔)
2008. 6. 행정안전부, 6개년 과제로 연장 지정. 3차년도 사업 수행
2008. 9. 8 2008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착수 보고회 (은평문화회관)
2009. 3. 25 2009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착수 워크숍 (원주)
2009. 12. 8 지식정보자원 유통협약 체결식 (프레스센터)
2010. 4. 9 2010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착수보고회 (이북5도위원회)
2011. 1. 13 2011 북한 자연․인문지리 DB구축 발표회 (NIA 대회의실)
추진 방식
연차별 구축내용
연도 주요내용 형태 및 수량 메타데이터 건수
2006년
4.27~11.30
o 북한의 행정구역별 정보
- 지명유래, 옛이름 등
o 행정지도, 자연지도, 시가도 236도엽
o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자연, 동식물 등 이미지 및 동영상
- 문자 : 13,791건(38,197면)
- 사진 · 지도 : 11,726컷
- 동영상 : 54건
25,537건
2007년
3.23~10.31
o 평양시, 개성시, 남포시, 나선시 행정구역별 정보
o 5대명산 정보
o 인물, 민속 정보
o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자연, 동식물 등 이미지 및 동영상
- 문자 : 28,353건(74,234면)
- 사진 · 지도 : 10,971컷
- 동영상 : 17건
39,328건
2008년
8.7~12.31
o 북한의 행정구역별 산업․경제, 사회․문화, 교통, 역사, 민요 등
- 자연, 천연기념물, 명승지 등
o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자연, 동식물 등 이미지 및 동영상
- 문자 : 10,658건(53,180면)
- 사진 · 지도 : 1,484컷
- 동영상 : 191건
12,141건
2009년
2.25~8.24
o 평안남북도․양강도 내 1,459개 동․읍․리의 자연․인문지리 정보
o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자연, 문화, 동식물 등 이미지 및 동영상
- 문자 : 92,672건(55,714면)
- 사진 · 지도 : 746컷
- 동영상 :79건
93,418건
2010년
3.05~9.1
o 황해남북도, 강원도 1,367개 동․읍․리의 자연․인문지리 정보
o 인물, 민요악보 등
o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자연, 문화, 동식물 등 이미지 및 동영상
- 문자 : 83,961건(57,507면)
- 사진 · 지도 : 3,030컷
- 동영상 : 230건
86,991건
합계 행정구역 5,035지역, 유물·유적 2,365개, 야생·특산물 2,046개, 지도 243도엽, 인물 5,256명, 의식주생활풍습 22권, 이미지 31,607면, 동영상 800편 - 문자 : 229,435건(278,832면)
- 사진 · 지도 : 27,957컷
- 동영상 : 571건
257,415건
사업발전방향
단계 1단계 2단계 3단계
기간 2006~2007 2008~2010 2011~
사업추진계획 북한 행정체계 및 지역 개관, 지명유래 DB 구축 읍·동·리 단위 행정구역별 인문지리정보 구축
유물유적, 천연기념물 등의 동영상 1900분을 추가, 멀티미디어형 콘텐츠 구축
서비스운영
계획
북한의 최신 자연 · 인문 지리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정부와 교육기관, 언론, 민간기업을 비롯하여 연구자, 학생, 이산가족 등 대국민 북한 지역정보 접근 기반 마련 북한자연·인문지리DB의 전문화, 고도화를 통해 북한지역정보 포털 시스템 구축 민간 검색 포털, 언론사, 정부기관, 연구기관 등과의 정보 연계를 통해 북한관련 종합
정보 포털 기능 수행
서비스 방식
항목의 선정

항목은 도(직할시), 군(시, 구역), 읍, 리, 동(노동자구)를 기반으로 하여 자연ㆍ인문지리 표제어로 구성하였다. 상세한 구성항목은 다음과 같다.

一. 도(직할시) 항목
  1. 개관 : 도(직할시) 일반에 관한 개괄적인 소개
  2. 역사적 연혁 :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행정구역변화, 연혁관계
  3. 현행 행정구역 : 현행 행정구역 일람표와 행정지도, 자연지도
  4. 자연환경
    • 지형 : 지질과 지하자원
    • 기후
    • 수문
    • 해양
    • 토양
    • 식물상
    • 동물상
    • 자연보호구
  5. 산업
    • 공업
    • 농업
    • 수산업
    • 광업
  6. 교통
    • 철도
    • 도로
    • 수로
  7. 자연관광자원
    • 명승지
    • 자연경관자원
  8. 자연보건자원
    • 온천
    • 약수
    • 감탕
  9. 교육 · 문화
    • 교육(대학, 전문학교 등)
    • 도서관
    • 박물관
    • 병원
    • 요양소(휴양소)
    • 소년단야영소
  10. 문화재
    • 유적 : 도내에 소재한 국보, 준국보, 보존급 유적
    • 유물 : 도내에서 발굴된 국보, 준국보급 유물
  11. 천연기념물
    • 도내에 소재한 천연기념물(북한 자연보호연맹 지정)
  12. 지방음식
    • 주식
    • 부식
    • 조미료
    • 과자
    • 음료
    • 철음식
    • 술 · 안주
    • 음식과 건강
    • 치료음식
  13. 지방민속
    • 옷차림풍속
    • 식생활풍습
    • 주택생활풍습
    • 가족생활풍습
    • 노동생활풍습
    • 민속명절
    • 민속놀이
    • 민속음악 · 무용
  14. 향토지리지명편람
    • 도(직할시)의 현행지명 및 유래
    • 도(직할시)의 옛지명과 그 연혁변화관계
    • 도(직할시)내 여러 개 군(시, 구역)에 걸치는 자연지리적 대상물
二. 군(시 · 구역) 항목
  1. 개관 : 군(시, 구역) 일반에 관한 개괄적인 소개
  2. 연혁 :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행정구역변화, 연혁관계
  3. 현행 행정구역 : 행정구역일람표와 행정지도, 자연지도
  4. 자연 : 지리지형, 수문, 기후, 동식물상 등
  5. 산업교통 : 공업, 농업, 수산업과 교통
  6. 교육문화 : 교육, 문화, 후생시설 및 문화재 등
  7. 특산물 : 지역에서 특수하게 나는 생산물
  8. 인물 : 지역출신의 역사인물, 각계각층 유명인사
  9. 사건 : 지역에서 발생한 역사사건 및 중대사항
  10. 향토지리지명편람
    • 군(시, 구역)의 현행 지명 및 유래
    • 군(시, 구역)의 옛지명
    • 군(시, 구역)내의 여러 개 리(읍, 동, 노)에 걸치는 자연지리적 대상물
    • 광복 이후 폐지된 읍, 면 및 그 연혁관계
三. 읍 · 리 · 동(노동자구) 항목
  1. 개관 : 읍 · 리 · 동(노동자구) 전반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2. 향토지리지명편람
    • 현행 읍, 리, 동(노동자구)의 지명 및 유래
    • 현행 읍, 리, 동(노동자구)의 옛지명(광복이후 폐지된 리 포함)과 그 연혁관계
    • 현행 읍, 리, 동(노동자구)에 소속되어 있는 소유의 마을, 부락, 거리 등 거주지
    • 읍 · 리 · 동(노동자구)내에 있는 소유의 자연지리적 대상물
      • 강 : 하(河), 개, 천, 개울, 개천, 도랑
      • 포 : 포, 포구
      • 곶 : 곶이(串), 반도(半島), 만(灣)
      • 들 : 벌, 평야
      • 늪 : 못(池), 소, 웅덩이, 여울, 저수지, 늪
      • 숲 : 숲, 풀갓, 나무
      • 산 : 산, 산맥, 버덩, 바위, 모롱이, 봉우리
      • 해(海) : 해수욕장, 해협, 섬, 모래톱
      • 밭 : 논, 밭, 진펄
      • 고개 : 고개, 재, 영
      • 약 : 약수터, 온천, 염천
      • 고적 : 터, 자리, 고적, 절, 탑, 미륵
      • 동굴, 폭포
      • 나루 : 나루터, 나루
      • 공원 : 공원, 유원지, 어린이놀이터, 소년단야영소
      • 길
      • 광산
      • 둑 : 둑, 제방
      • 봇돌 : 봇도랑, 수로
표제어의 표기
  1. 문자 정보의 표제어와 원고는 북한의 어문규정을 수용한 『조선향토대백과』 의 ‘원문’과 남한의 한글 어문규정을 적용한 ‘해설문’으로 분리하여 수록하였다.
    따라서 ‘해설문’에 적용된 두음법칙에 의한 어음변화로 원문의 표제어와 해설문의 표제어가 동일한 대상을 이르는 것임에도 서로 어음이 다를 수 있다.
    해설문에 적용된 두음법칙은 모든 항목에 포괄적으로 적용하였다. 사진, 동영상 등은 해설문으로만 표기하였다.
  2. 지명과 관련된 모든 표제어는 한글로 표기하고, 유래와 뜻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한자를 병기해 두었다. 한자를 쓸 수 없을 경우는 해당 부분에 ‘~’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한자음과 한글음이 다른 경우는 한자에 대한 한글식 변음이 일어난 경우이다.
    • 한자생략 : 궁골동(宮~洞)
    • 한자변음 : 피득현말(得峴~) 사개골(砂器~) 국사당(國祠堂) 국사당령(國祀堂嶺) 국시고개(國祀~) 국시당고개(國祠堂~)
  3. 한 대상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름이 있을 경우, 법적으로 규정되었거나 보다 많이 쓰는 형태를 택하여 설명하였다.그 외의 이름 역시 표제어로 사용하였으나 대표이름을 참조하도록 하였다.
    • 대표이름 : 괘루부(卦婁部)[황부, 계루부] 옛지명
    • 다른이름 : 계루부(桂婁部) 옛지명 → 괘루부
  4. 동식물의 이름을 표기하는 경우, 한글이름과 학명을 병기하였다. 그러나 학명을 표기할 수 없을 때에는 한글이름만을 명기하였다.
    • 한글과 학명 병기 : 호두나무 Juglans regia L.
    • 한글이름 : 릉라도흰봄무우
  5. 유물유적 등이 표제어일 경우, 국가지정문화재 국보급과 준보존급 등은 지정된 명칭과 지정번호를 병기하였다. 이에 포함되지 않는 일반 유물유적의 경우는 그 이름만을 표기하였다.
    • 명칭과 지정번호 : 동진성(東鎭城)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588호
    • 명칭 : 와산동유적(臥山洞遺跡)
  6. 모든 표제어는 붙여쓰기를 원칙으로 하였고 표제어가 숫자와 한글의 혼합어일 경우, 숫자구분은 아래점(.) 사용을 원칙으로 하였다. 단 보기와 같이 주요한 역사적 사건일 경우에는 중간점(ㆍ)을 사용하였다.
    • 6ㆍ25전쟁, 8ㆍ15광복
    • 4.25문화회관(四.二五文化會館)
  7. 세부 표제어는 ‘표제명’과 함께 내용에 부합되는 각종 ‘분류명’을 병기함으로써 독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 오고미방(吾古未坊) 옛지명
    • 강동산줄기(江東山~) 산맥
    • 모란봉공원(牡丹峯公園) 공원
    • 경림동(敬臨洞) 동 
학술활동
국내회의 국제회의 재외동포 통일독일현장연구 북한자연인문지리DB 학술지
 
 
개인정보보호정책 저작권정책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평화문제연구소
(우)03458 서울시 은평구 응암로 373번지 5층 TEL : 02.358.0612~5 FAX : 02.384.1924 ipa21@ipa.re.kr
The Institute for Peace Affairs 373, Eungam-ro, Eunpyeong-gu, Seoul, Republic of Korea

ⓒ Copyright 2019 - Institute for Peace Affairs. All rights reserved.

오늘 하루 열지 않기 닫기
오늘 하루 열지 않기 닫기